|
 |
6단계 설교형식 이렇게 결정하라 2015-12-16 20:10:04 read : 37587 내용넓게보기. 프린트하기
류응렬교수
제 6 단계
설교형식 이렇게 결정하라
I. 연역적 설교 작성하기
A. 정의 및 설명
i. 연역적 설교에서는 서론에 이미 중심주제가 등장하고 본론에서 이를 설명하고 증명하고 적용하는 형식
ii. 중심사상이 서론에서 이미 제시되고 이를 하나씩 설명해 가는 설교
iii. 유용한 설교방식
1. 바울서신 설교
2. 주제식 강해설교
3. 교리설교나 절기설교에 유용하다
iv. 전통적 설교의 흐름이 주로 이런 형식
1. 논리적 흐름에 익숙한 청중
2. 서론에서 중심사상 제시하고 본론에서 설명하고 증명하고 결론에서 다시 한번 요약하는 것
B. 연역적 설교형식 흐름
i. 중심사상을 설명하라.
1. 연역적 설교란 먼저 중심사상을 제시하고 청중에게 그 사상을 설명, 증명, 적용하는 것
2. 설교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성경본문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것이다.
A. 성도들로 이 말씀이 하나님의 어떤 말씀인지 보여주라.
i. 성도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지 알려주라.
ii. 성도에게 말하는 것을 알려주라.
iii. 성도에게 말했던 것을 알려주라.
3. 서론에서 중심을 말해주고, 본론에서 중심을 나누어서 분석하여 설명하고, 결론에서 중심을 다시 일깨워주라.
4. 연역적 설교에서 설명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론에서 왜 들어야 할지를 제시하는 것이다 (Robinson, 121)
A. 청중에게 왜 이 설교를 들어야 하는지의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
B. 오늘의 설교가 우리의 삶에 무엇을 바꾸어 놓을 수 있는지 제시
5. 연습: 골로새서 1:15‐18
A. 본문의 중심 주제가 무엇인가? (중심사상)
B. 본문의 중심 주제를 설명하기 위해 설명하는 세 가지는 무엇인가? (대지)
i. 서론: 왜 그리스도 예수가 모든 것보다 우위에 계신 분이신가?
ii. 본론
1. 1:15
2. 1:15‐17
3. 1:18
iii. 결론: 적용
ii. 명제는 증명하라.
1. 어떤 사상은 설명하는 것보다 증명되어야 할 것이 있다
A. 설교자는 이 말씀이 사실인지 우리가 믿을 수 있는지 증명할 필요가 있다
B. 왜 이 말씀이 진실인지 논증하고 증명하고 성경전체에서 분석하고
C. 본문을 왜 믿어야 하는지 설교라는 이유로 믿게 할 것이 아니라 진리이기에 믿게 해야 한다
2. 연습: 고전 15:12‐19
A. 서론: 왜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어야 하는가?
B. 본론: 단계별로 증명해 나가기
i. 15:12‐14
ii. 15:15
iii. 15:16‐17
iv. 15:18‐19
C. 결론
iii. 원리는 적용하라.
1. 먼저 서론이나 첫 대지에서 성경의 원리를 제시하고 나머지는 그 원리가 우리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미치는지 그리고 어떻게 적용되는지 제시한다
2. 특히 본문이 우리의 삶에 무슨 차이를 만들어 내는가 라는 질문에서
3. 연습: 에베소서 5:22‐6:9
A. 서론: 구원 받은 그리스도인으로 어떤 자세로 생활에 임할 것인가?
B. 본론
i. 5:22‐33
ii. 6:1‐4
iii. 6:5‐9
C. 결론
II. 귀납적 설교
A. 정의 및 설명
i. 귀납적 설교는 서론에서 첫 대지에 나오는 내용 하나 정도만 밝히거나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탐구를 진행한다
1. 다음 단계에서 첫 번째 제기한 질문에 대해 탐구해 간다.
2. 다음 단계는 앞에서 끝난 곳에서 시작하여 질문하고 이에 대해 청중과 함께 탐구한다.
3. 중심 사상을 설교의 중간에 보이지 않고 결론까지 미룬다.
ii. 알맞은 성경장르
1. 구약의 내러티브 설교와 사 복음서는 주로 귀납적 설교형태가 효과적이다
2. 이야기식 설교, 내러티브 설교형태로서 적절한 형태
3. 예수님의 비유설교
iii. 귀납적 설교의 구조
1. 귀납적 구조는 움직임과 흐름을 보이는 것
2. 우리가 겪는 문제로 시작하여 성경에서 말하는 해결을 찾아가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A. 물론 이것이 문제‐‐해결이라는 도식에 가두어선 안 된다
B. 문제해결을 위해 복음을 끌어오는 것과 복음제시를 위해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복음을 제시하는 것을 말한다
3. 귀납적 설교는 강의라기 보다 대화에 가깝다 (Robinson, 127)
iv. 귀납적 설교의 유익
1. 오늘날 대중매체의 시대에 매우 적절한 형식
2. 청중이 깨달아 가는 기쁨
3. 청중의 설교에 적극적으로 동참을 높인다
4. 복음에 적대적인 사람에게 하나씩 해답을 찾도록 도움을 준다
5. 설교흐름에 긴장이 있다
6. 잘 되었을 때 이해와 기억이 쉽다
B. 설교의 흐름
i. 주제를 서서히 완성하라
1. 서론에서 다음 대지에 해당되는 주제만 제시하고 중심 사상을 열어두지 않는다.
A. 다음에 나오는 대지나 소지에서 하나씩 중심 주제를 향해 나아가는 설교.
B. 앞 뒤가 긴장과 질문 속에 연결되는 흐름이 있는 설교
C. 스포츠 경기에서 마지막 점수를 확인하는 흐름
2. 연습: 누가복음 17:1‐19
A. 질문: 누가 하나님을 움직이는 사람인가?
B. 17: 1‐4
C. 17:5‐10
D. 17:11‐19
3. 결론
i. 이야기를 진행하라.
1. 예수님은 이야기를 통하여 진리를 전파하셨다.
A. 설교자는 이야기에 대가여야 한다
i. 이야기를 통해 단순하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중심사상을 전달해야 한다
ii.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각각의 사상이 드러나고 절정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B. 조심해야 할 부분: 이야기는 이야기지만 무엇에 관하여 누구에 관하여 왜 하셨으며 어떤 결과를 기대하셨는가?
i. 이야기는 살아있으나 예수 없는 이야기
ii. 좋은 감동적 이야기만 있으면 예수가 없어도 훌륭한 설교?
2. 이야기 설교의 중심은 사람들로 하여금 이해하기 쉽고 결론으로 이끌어 가는 것
A.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청중으로 하여금 설교의 중심 사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
B. 드라마, 영화, 소설 기법의 유용성
C. 오늘날 시대에 매우 적실한 유형
3. 연습: 사도행전 2:14‐36
A. 서론: 2:14‐21
B. 본론: 2:22‐36
C. 결론: 적용
ii. 귀납적 설교는 주로 이야기식/내러티브 설교형식을 띤다
1. 연습: 마태복음 11:1‐11
2. 요한복음 21:1‐14
I. 연역적과 귀납적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혼합형
i. 연역적 설교와 귀납적 설교의 혼용
1. 해석학적 신학적 배경은 철저한 연역법적 설교
2. 설교 전달은 귀납적 설교의 형태
ii. 서론은 귀납적 진행은 연역적 설교
1. 처음에 답을 제시하지 않고 문제를 제기한다
A. 그 문제가 나의 문제로 그리고 우리의 문제로
2. 설교가 진행됨에 따라 하나씩 설명하고 증명하고 적용해 간다
A. 답이 있는 설교
B. 결론과 적용이 있는 설교
II. 어떻게 설교형식을 결정할 것인가?
A. 전통적 기법: 3대지 연역적 설교
i. 서론에서 중심주제 말하고
ii. 세 가지 요점을 통해 설명하고
iii. 결론을 맺는 형식
B. 프레드 크래독: 귀납적 설교
i. 전통적 설교 비판하고 새로운 귀납적 설교형식 주창
ii. 청중의 삶에 더욱 밀접 된 설교 형식
iii. 설교의 초년생은 귀납적 설교에서 많은 노력을 요구한다
iv. 초년생은 연역적 설교가 오히려 효과적이고 쉬울 수 있다
C. 유진 로우리: 이야기식 설교
i. 모든 설교는 자신의 설교학적 플롯을 따를 것을 주장
ii. 로우리의 5단계 설교구성
1. 평형을 뒤집어라
2. 모순을 분석하라
3. 해결의 실마리를 드러내라
4. 복음을 경험하라
5. 결과를 기대하라
iii. 바울서신 까지 적용하기 어려운 사실
iv. 연역적 설교에 대한 무조건적 비판
D. 설교의 형식을 결정짓는 두 가지 접근
i. 첫째, 이 설교형식이 본문의 내용을 제대로 전달하고 있는가?
ii. 둘째, 설교자로서 청중에게 목적하는 바를 이룰 수 있는가?
iii. 위의 세 가지 설교 흐름은 제안일 뿐 다른 방법 얼마든지 융통성 있다
iv. “단 한 가지의 설교형식”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Robinson, 131)
v. 어떤 방법론을 지향하더라도 근본적으로 강해설교를 유지할 것
1. 의미는 성경본문에서
2. 본문에 근거한 설명과 적용
3. 청중에 가장 알맞은 설교형식과 전달방법 개발
|
독자 설교 |
 |
|
|
|
 |
|